넷피아 20주년 기념영상 2
넷피아 20주년 기념영상
저자는 아직 경력을 작성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mjkim 씨는 무려 11 항목에 기여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넷피아 20주년 기념영상
넷피아 20주년 기념영상
한글 인터넷 주소 ‘넷피아(Netpia)’ 홍보영상
한글 인터넷 주소 ‘넷피아(Netpia)’ 홍보영상
한글 인터넷 주소 ‘넷피아(Netpia)’ 홍보영상
① 과거 인터넷 40년은 도메인 Root 확보와 세계화, 후방산업 선점화가 현재의 유관 산업 구도를 형성
② 미래 인터넷 40년은 자국어인터넷주소 Root 확보와 세계화, 후방산업 선점화가 40년 후의 산업구도를 형성하게 될 것임
인터넷이 발전 할려면 스스로 좋은 콘텐츠를 만든 기업의 사이트에 이용자가 아무 어려움 없이 방문 할 수 있게 하는 한글인터넷주소가 가장 큰 대안 입니다.
인터넷 입구(주소창)에서 기업명/브랜드를 입력하는 사용자는 그 기업의 고객입니다. 상표, 상호를 입력하는 인터넷 사용자는 소중한 모든 기업의 고객입니다. 일자리는 근본적으로 기업이 창출하는 것이 아닌 고객이 창출하기 때문입니다. 전체고용의 약 90%는 중소기업이 고용합니다. 중소기업에 고용된 약 90%는 대기업의 소비자입니다.
중소기업들은 포털의 키워드 광고가 비싸긴 하지만 효과가 좋다고 합니다. 효과가 좋은 이유는 일반검색어 검색을 하면 자신의 이름이 노출이 되어 광고 효과가 있는 것도 있지만, 그보다 먼저 자신의 이름을 입력한 고객은 이미 자신의 인터넷 누리집으로 들어 왔어야 하는 자신들의 고객들이 포털로 돌려져 포털에서 자신의 이름을 기다리고 있는 것을 잘 모르고 있습니다.
해당 기업의 광고 마케팅 활동의 결과로 기업의 이름을 알고 인터넷의 입구에 입력하는 사용자는 그 기업의 고객이다. 구매자가 아니어도 잠재적 고객은 모두 고객이다.
www 같은 영문도메인이 그 증거이다.